IT/git 3

[git] MacOS 깃 허브 사용법 정리

간단한 Git 명령어 사용법 정리📌 내용: clone / pull / merge & rebase / .gitignore📌 Git의 흐름도Working Directory → 사용자는 해당 위치에서 파일을 생성, 수정,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→ Git 저장소에서 현재 체크아웃되어 실제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Staging Area → 사용자는 커밋할 파일과 변경 사항을 미리 선택하여 준비→ 커밋 전에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는 영역, ‘인덱스(Index)’라고도 불림Committed Files (Local Repository) → 해당 파일들은 Git의 버전 관리 이력에 남아 추적→ 스테이징 영역에 있던 파일들이 커밋을 통해 로컬 저장소의 히스토리에 영구적으로 기록된 상태Remote Reposit..

IT/git 2025.03.05

[git] 맥북으로 github 적응하기

본 글은 맥북으로 작업을 처음,깃 허브 활용도 처음하는 초보 개발자의깃 허브 사용 포스팅입니다.개요.목표: github 래퍼지토리에 수정한 내용 commit / push 하기!// == 간단 요약 == //#터미널cd /폴더위치 경로>> git add . >> git commit -m "수정한 내용 간단하게 적기" >> git push origin main main -> main ================push가 완료됨============== 1. GitHub 접속!https://github.com/ GitHub ·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..

IT/git 2025.02.19

[git] 맥북 터미널에서 github 연결하기 사용자 정보 설정

새로운 환경에서 깃 허브에 다시 연결할 때를 대비해서최초 1회만 설정하면 되는 내용을 포스팅 하겠습니다~~ GPT 형님이 도와주신 내용으로 작성하는글 입니다. 참고하시길 바래요!//출처 : CHATGPT🔹 1. Git 설치 확인하기MacBook에는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, 확인하는 것이 좋다.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.git --version 만약 Git이 설치되어 있다면 버전 정보가 출력된다."command not found" 오류가 발생하면 Git이 설치되지 않은 것이다.이 경우, Homebrew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.brew install git 🔹 2. Git 사용자 정보 설정 (최초 1회)Git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.자신의 G..

IT/git 2025.02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