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 글은 맥북으로 작업을 처음,
깃 허브 활용도 처음하는 초보 개발자의
깃 허브 사용 포스팅입니다.
개요.
목표: github 래퍼지토리에 수정한 내용 commit / push 하기!
// == 간단 요약 == //
#터미널
cd /폴더위치 경로>> git add .
>> git commit -m "수정한 내용 간단하게 적기"
>> git push origin main
main -> main
================push가 완료됨==============
1. GitHub 접속!
GitHub ·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ngle, collaborative platform
Join the world's most widely adopted, AI-powered developer platform where millions of developers, businesses, and the largest open source community build software that advances humanity.
github.com
해당 링크로 github에 접속한 뒤
로그인 해줍니다.
로그인을 하면 이런화면이 될텐데요
좌측 상단에 repositories New를 클릭해줍니다.
cf) repository 란?
프로젝트의 파일과 변경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소
버전을 관리할 수 있고, 내 컴퓨터의 저장소와 클라우드 저장소로 나눌 수 있다
(즉, 개인 작업 및 협업에도 유리한 공간)
해당 화면에서 레퍼지토리 이름을 정해서
저장소를 하나 만들어줍니다.
test1 이라는 레퍼지토리를 만들었습니다
이제 저장소에 올릴 폴더를 만들어주고
그 폴더와 래퍼지토리를 연결해 줄겁니다.
저는 문서 폴더에 test 폴더를 만들어서 연결 시켜보겠습니다.
우선 깃 허브와 맥북끼리 연결을 위해
한번만 하면 되는 설정이 있습니다.
해당 관련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셔서
설정 해 주시고 아래 글을 봐주세요!
https://j8970.tistory.com/8
터미널에서 해당 폴더가 있는 경로로 들어간 후
깃허브에 만든 test1 레퍼지토리에서
해당 부분을 복사 후 터미널에 넣어주면 됩니다.
폴더에 .git 파일이 생성되었다면 연결이 완료
된 겁니다. 혹시나 안보이면 command+shift+ . 을
누르면 숨김 폴더가 보이게됩니다.
레퍼지토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
파일 하나를 임의로 추가후 add / commit / push
해보겠습니다.
파일이 정상적으로 올라간 것을
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'I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MacOS 깃 허브 사용법 정리 (0) | 2025.03.05 |
---|---|
[git] 맥북 터미널에서 github 연결하기 사용자 정보 설정 (0) | 2025.0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