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/git

[git] 맥북 터미널에서 github 연결하기 사용자 정보 설정

j8970 2025. 2. 18. 21:20

새로운 환경에서 깃 허브에 다시 연결할 때를 대비해서

최초 1회만 설정하면 되는 내용을 포스팅 하겠습니다~~

 

GPT 형님이 도와주신 내용으로 작성하는

글 입니다. 참고하시길 바래요!

//출처 : CHATGPT

🔹 1. Git 설치 확인하기

MacBook에는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, 확인하는 것이 좋다.
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.

git --version

 

만약 Git이 설치되어 있다면 버전 정보가 출력된다.

"command not found" 오류가 발생하면 Git이 설치되지 않은 것이다.
이 경우, Homebrew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.

brew install git

 

🔹 2. Git 사용자 정보 설정 (최초 1회)

Git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.
자신의 GitHub 이메일과 사용자명을 입력한다.
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YourGitHubUsername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your-email@example.com"

 

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.

git config --global --list

 

🔹 3. SSH 키 생성 및 GitHub 연결 ( 이 부분은 인터넷 검색 추천!!)

GitHub에 매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려면 SSH 키를 설정해야 한다.

1️⃣ SSH 키 생성

ssh-keygen -t ed25519 -C "your-email@example.com"

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키를 저장할 경로를 묻는데, 기본값(~/.ssh/id_ed25519)을 사용하려면 그냥 Enter를 누른다.
이후, 비밀번호(Passphrase)를 설정할 것인지 묻는데, 그냥 Enter를 눌러서 생략해도 된다.

 

2️⃣ SSH 에이전트 실행 및 키 추가

eval "$(ssh-agent -s)"
ssh-add ~/.ssh/id_ed25519

 

3️⃣ 공개 키를 GitHub에 등록

GitHub에서 인증을 받으려면 생성된 공개 키를 등록해야 한다.
공개 키를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.

cat ~/.ssh/id_ed25519.pub

 

출력된 내용을 복사한 후, GitHub에 등록한다.

  1. GitHub에 로그인한다.
  2. 오른쪽 상단 프로필 아이콘 클릭 → Settings 선택
  3. 왼쪽 메뉴에서 SSH and GPG keys 클릭
  4. New SSH key 버튼 클릭
  5. Title에 "MacBook SSH Key" 입력
  6. Key 부분에 복사한 공개 키 붙여넣기
  7. Add SSH key 클릭

4️⃣ SSH 연결 테스트

ssh -T git@github.com

 

처음 실행하면 "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(yes/no)?

라고 나오는데, yes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.

 

 

이상 깃 허브 연결을 위한 초반에 진행할 설정 포스팅 끝!

'I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MacOS 깃 허브 사용법 정리  (0) 2025.03.05
[git] 맥북으로 github 적응하기  (1) 2025.02.19